반응형
모든 난치병 환자의 희망이라면 신약이 개발되어 병이 치료가 돠는 것을 꿈을 꾸고 있을 겁니다.
더욱이 심각한 질병에 걸린 환우분이라면 물에 빠지 사림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으로 임상시험에 참여하고 싶은 바람은 더욱 클 것입니다.
신약을 기다리는 환자분과 가족분들을 위해서 임상시험에 대해서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 참고로 본 글은 의학적인 지식을 정리한 내용으로 의약품 또는 회사의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Clinical Trial)은 신약, 치료법,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람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연구입니다. 신약 개발에서 필수적인 과정으로, 각 단계별로 철저한 검증을 거쳐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상시험의 단계별 과정, 참여 방법, 그리고 참여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임상시험의 단계별 과정
1) 전 임상시험(Preclinical Studies)
-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전에,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신약 후보 물질의 안전성과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 실험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1상)을 진행할 수 있는지 검토됩니다.
- 출처: 국립암센터 임상시험 안내 (https://www.cancer.go.kr/lay1/S1T210C302/sublink.do)
2) 1상 임상시험(Phase 1)
- 소수(20~80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약물의 안전성, 부작용, 체내 작용을 평가합니다.
- 주요 목표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최적의 용량을 찾는 것입니다.
- 출처: 충남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 (https://www.cnuh.co.kr/ctc/sub03_01.do)
3) 2상 임상시험(Phase 2)
- 질환을 가진 환자(100~300명)를 대상으로 약물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 치료 적응증을 확인하고 적절한 용량을 결정합니다.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 (https://nedrug.mfds.go.kr/cntnts/15)
4) 3상 임상시험(Phase 3)
- 대규모 환자(수백~수천 명)를 대상으로 기존 치료제와 비교하여 신약의 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신약 허가 신청을 위한 데이터를 확보합니다.
- 출처: 충남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 (https://www.cnuh.co.kr/ctc/sub03_01.do)
5) 4상 임상시험(Phase 4)
- 신약이 허가 및 시판된 이후, 장기간의 효과 및 드문 부작용을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 출처: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https://www.konect.or.kr/kr/pages/information/clinicalTrialMethod.do)
반응형
2.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방법
1) 모집공고 확인
- 병원, 연구기관, 국가기관 홈페이지에서 임상시험 참여자를 모집하는 공고를 확인합니다.
- 출처: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https://www.konect.or.kr/kr/pages/information/clinicalTrialMethod.do)
2) 참여 신청
- 관심 있는 임상시험을 선택하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3) 방문 및 상담
- 연구기관을 방문해 담당자로부터 임상시험 절차와 예상 효과, 부작용에 대한 설명을 듣습니다.
4) 설명서 검토 및 동의서 작성
-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은 후, 참여 동의 여부를 결정하고 서면 동의서를 작성합니다.
- 출처: 국립중앙의료원 임상시험센터 (https://www.nmc.or.kr/ctcr/contents/ct_meaning)
5) 사전 검사(스크리닝)
- 혈액 검사, 신체 검사 등 기본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합니다.
6) 임상시험 참여
- 사전 검사 결과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본격적으로 임상시험에 참여하게 됩니다.
3. 임상시험 참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1) 충분한 정보 수집
- 임상시험의 목적, 과정, 예상되는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얻어야 합니다.
- 출처: 국립암센터 임상시험 정보 (https://www.cancer.go.kr/lay1/S1T210C302/sublink.do)
2) 자발적 참여
- 임상시험은 강제성이 없으며, 언제든지 철회할 권리가 있습니다.
3) 부작용 및 위험성 고려
- 신약은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검토해야 합니다.
4) 대체 치료법 고려
- 현재 이용할 수 있는 기존 치료법과 비교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5) 시간 및 비용 고려
- 임상시험은 장기간 진행될 수 있으며, 방문 일정 및 검사 비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4. 글을 마치며...
끝까지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임상시험은 신약 개발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며,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임상 시험은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참여 전에 충분한 정보를 숙지하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특정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찾고 있다면, 임상시험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목록
- 국립암센터 - 임상시험이란(https://www.cancer.go.kr/lay1/S1T210C302/sublink.do)
- 충남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 - 임상시험 단계(https://www.cnuh.co.kr/ctc/sub03_01.do)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 - 임상시험 정보(https://nedrug.mfds.go.kr/cntnts/15)
-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 임상시험 참여 방법(https://www.konect.or.kr/kr/pages/information/clinicalTrialMethod.do)
- 국립중앙의료원 임상시험센터 - 임상시험 의미(https://www.nmc.or.kr/ctcr/contents/ct_meaning)
** 참고로 본 글은 의학적인 지식을 정리한 내용으로 일부 내용이 실제 사실과 다른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선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 작성된 내용과 관련하여 댓글로 더 좋은 정보를 주시면, 다른 분들에게 더 큰 도움과 힘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