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하루...의학

18번 삼염색체증(에드워드 증후군) 원인과 증상

by 케빈.. 2025. 4. 13.
반응형

18번 삼염색체증, 흔히 에드워드 증후군으로 알려진 이 질환은 염색체 18번의 삼배체(trisomy)에 의해 발생하는 희귀 유전 질환입니다. 이 증후군은 다양한 신체적 기형과 발달 지연을 특징으로 하며, 심장 기형, 호흡기 문제, 소화기 이상 등이 대표적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1. 발병 원인

에드워드 증후군은 18번 염색체가 세 개 존재하는 삼염색체 이상으로, 주로 감수분열 중 염색체 비분리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모든 체세포에 18번 염색체가 세 개 존재하게 되며, 이는 대부분 자연 유산으로 이어집니다. 드물게는 일부 세포에서만 염색체 이상이 있는 모자이크형도 존재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632

 

 

2. 전염경로

에드워드 증후군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질환으로, 바이러스나 세균과 같은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거나 전염되지 않습니다.

출처: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kr/home/children-s-health-issues/chromosomal-and-genetic-disorders/trisomy-18

 

 

3. 주요 증상

에드워드 증후군 환아는 다양한 신체적, 지적 장애를 보입니다. 대표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체중 출생
  • 두개골 및 얼굴 기형(작은 턱, 낮은 귀 위치)
  • 손가락 겹침, 주먹 쥔 자세
  • 심장 기형(심실중격결손 등)
  • 호흡 곤란
  • 심한 지적 장애 및 발달 지연

출처: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378

 

 

4. 진단 방법

에드워드 증후군은 산전과 출생 후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산전 진단: 비침습적 산전 검사(NIPT), 양수 검사, 융모막 검사 등을 통해 염색체 이상 확인
  • 출생 후 진단: 임상 증상 및 염색체 분석을 통한 확진

출처: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dIndex.do?mode=view&cntNo=35432

 

 

5. 치료 방법

에드워드 증후군은 유전적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대부분 보존적 치료를 중심으로 하며, 주요 목표는 증상 관리와 생존 연장입니다:

  • 심장 기형 수술
  • 인공호흡기 및 영양 보조
  • 감염 예방 및 재활치료

출처: MedlinePlus (NIH)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trisomy-18/

 

 

6. 치사율

에드워드 증후군은 매우 높은 치사율을 보입니다.

전체 환아의 약 50%가 생후 첫 주 내에 사망하며, 1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는 약 10% 미만입니다.

출처: Rare Diseases.org

https://rarediseases.org/rare-diseases/trisomy-18/

 

 

7. 병의 진행 속도와 예후

에드워드 증후군은 빠르게 진행되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환아는 생후 수개월 내 사망합니다.

장기 생존 시에도 중증의 발달장애와 지속적인 건강 문제가 동반됩니다.

출처: NIH Genetics Home Reference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trisomy-18/

 

반응형

8. 예방 방법

에드워드 증후군은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지만, 고위험군 산모(고령 임신 등)의 경우 다음을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합니다:

  • 산전 유전자 검사(NIPT 등)
  • 유전 상담을 통한 위험도 평가

출처: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378

 

 

9. 식이요법 및 도움이 되는 음식

에드워드 증후군 환아는 연하 장애가 흔하므로 전문의 상담 후 적절한 영양 공급이 필요합니다.

  • 유동식, 고칼로리 영양 보충
  • 위루관 영양(필요시)
  • 식도 역류 예방 식단

출처: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https://www.cincinnatichildrens.org/health/t/trisomy-18-feeding

 

 

10. 가족과 간병인을 위한 주의사항

  • 의료진과의 정기적인 상담을 유지하며, 증상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
  • 정서적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상담 및 커뮤니티 참여
  • 급성 증상(호흡곤란, 경련 등)에 대비한 응급 대응 교육

출처: SOFT (Support Organization for Trisomy 18, 13 and Related Disorders)

https://trisomy.org/resources/family-support/

 

 

11. 최신 치료제 및 연구 동향

현재까지 유전자 치료나 근본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지만, 생존 기간 연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중치료와 재활치료 관련 연구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신생아 집중치료 및 증상별 맞춤 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출처: NIH MedlinePlus

https://medlineplus.gov/genetics/condition/trisomy-18/

 

12. 결론

18번 삼염색체증(에드워드 증후군)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이지만,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일부 증상의 완화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조기 발견과 전문적인 치료는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환자와 가족에게는 정기적인 의료 상담과 사회적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 이 글은 의학 관련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일부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의사 또는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 독자 여러분께서 댓글을 통해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해 주신다면, 이는 다른 이들에게 큰 도움과 위안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