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간염과 만성간염은 모두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지만, 발병 시기와 경과, 치료법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급성간염은 갑작스럽게 발생해 대부분 6개월 이내에 회복되며, A형이나 B형 바이러스 감염이 주요 원인입니다. 반면 만성간염은 6개월 이상 간 염증이 지속되는 상태로, B형·C형 바이러스나 음주, 자가면역 등이 원인이며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1. 급성간염과 만성간염이란?
간염은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원인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뉩니다. 급성간염은 갑작스럽게 나타나 빠르게 진행되는 반면, 만성간염은 6개월 이상 지속되어 간 손상이 서서히 진행되는 상태입니다. 이 두 질환은 원인, 증상, 경과, 치료법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급성간염과 만성간염의 차이점과 각각의 주요 정보를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2. 급성간염의 정의와 원인
2.1 정의: 6개월 미만 기간 동안 간에 급격한 염증이 생기는 상태로, 대부분 완전 회복이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 간부전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2.2 주요 원인:
- 바이러스 감염 (A형, B형, C형 간염 바이러스 중 A형과 일부 B형이 흔함)
- 독성물질(알코올, 약물, 독성 화학물질)
- 자가면역 간염
2.3 전염성: A형 간염은 주로 오염된 음식물 통해, B형은 혈액·체액 통해 감염
2.4 특징: 갑작스러운 피로감, 발열, 황달, 구역, 구토, 복통 등 증상이 나타남
출처: Mayo Clinic - Acute Hepatitis
URL: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acute/symptoms-causes/syc-20371599
3. 만성간염의 정의와 원인
3.1 정의: 6개월 이상 간 염증이 지속되어 만성 간질환으로 진행 가능하며,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습니다.
3.2 주요 원인:
- 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 알코올성 간질환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FLD)
- 자가면역 간염
3.3 특징: 초기에는 무증상이나, 서서히 피로감, 식욕감퇴, 간비대, 복수 등 나타남
3.4 진행: 간섬유화 → 간경변 → 간세포암
출처: Cleveland Clinic - Chronic Hepatitis
URL: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5496-chronic-hepatitis
4. 급성간염과 만성간염의 주요 차이점
구분 | 급성간염 | 만성간염 |
기간 | 6개월 미만 급성 발병 | 6개월 이상 지속 |
원인 | 주로 A형, B형(일부), 약물, 독성물질 | 주로 만성 B형, C형, 알코올, 자가면역 |
증상 | 급격한 피로, 황달, 복통, 구토 등 | 초기 무증상, 서서히 피로, 간비대, 복수 등 |
진행 양상 | 대부분 완전 회복, 일부 급성 간부전 위험 | 간경변, 간암 등 만성 합병증 발생 가능 |
진단 | 혈액검사(간효소 급격 상승), 영상 검사 | 혈액검사, 간생검, 섬유화 정도 평가 |
치료 | 원인 치료, 간 보호, 입원 치료 필요 시 있음 | 항바이러스제, 간경변 관리, 간암 조기 발견 필요 |
출처: Johns Hopkins Medicine - Hepatitis Types
URL: https://www.hopkinsmedicine.org/health/conditions-and-diseases/hepatitis
5. 급성간염의 증상과 진단법
5.1 증상: 황달, 진한 소변, 식욕부진, 전신 권태, 복통, 구역질, 발열 등이 갑작스레 나타납니다.
5.2 진단:
- 혈액검사(ALT, AST, 빌리루빈 수치 상승 확인)
- 혈청 간염 바이러스 항원/항체 검사 (HAV IgM, HBsAg 등)
- 초음파 검사로 간 모양 및 상태 확인
출처: CDC - Acute Hepatitis
URL: https://www.cdc.gov/hepatitis/hav/index.htm
6. 만성간염의 증상과 진단법
6.1 증상: 초기 증상 미미하며, 피로감이나 우상복부 불편감이 서서히 진행됨. 심한 경우 복수, 출혈 경향, 혼수 상태까지 발전할 수 있음.
6.2 진단:
- 혈액검사에서 간효소 수치 지속 상승
- 만성 B형/C형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 확인
- 간생검 또는 비침습적 간섬유화 검사(FibroScan)
- 간 초음파 및 CT/MRI 검사
출처: Mayo Clinic - Chronic Hepatitis
URL: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epatitis-chronic/symptoms-causes/syc-20367229
7. 치료법 및 관리법
급성간염 치료
- 대부분 대증치료(휴식, 영양 공급)
- 바이러스성 급성간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 회복 가능
- 심한 경우 입원 치료 및 간 기능 보조 필요
만성간염 치료
- B형 간염: 항바이러스제 (엔테카비르, 테노포비르 등)
- C형 간염: 직접작용항바이러스제(DAA)로 완치 가능
-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간염은 생활습관 개선 필수
- 정기적인 간암 검사 및 간경변 모니터링 중요
출처: WHO - Hepatitis Treatment Guidelines
URL: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hepatitis-treatment-guidelines
8. 예방 방법
- A형 간염 예방: 위생 관리, A형 간염 백신 접종
- B형 간염 예방:B형 간염 백신 접종, 감염 경로 차단
- C형 간염 예방: 주사기 공유 금지, 혈액 안전관리 강화
- 음주 절제 및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출처: CDC - Hepatitis Prevention
URL: https://www.cdc.gov/hepatitis/prevention/index.htm
9. 합병증과 예후
급성간염은 대부분 완치되나, 일부에서 급성 간부전 발생 가능
만성간염은 간경변, 간암, 간부전 등 중대한 합병증 위험
조기 진단과 치료가 예후 개선에 중요
출처: Liver Foundation - Hepatitis Outcomes
URL: https://liverfoundation.org/for-patients/about-the-liver/diseases-of-the-liver/hepatitis/
10. 결론
급성간염은 대부분 자연 회복되지만, 만성간염은 장기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특히 만성간염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와 바이러스 검사가 중요합니다. 간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예방접종, 금주, 균형 잡힌 식습관 등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이며, 고위험군은 전문의 상담을 통해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이 글은 의학 관련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일부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의사 또는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 독자 여러분께서 댓글을 통해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해 주신다면, 이는 다른 이들에게 큰 도움과 위안이 될 수 있습니다.